to be at the intersection of A and B: A,B 두가지 속성을 가지고있다. A 와 B 의 교차점에 있다.
to channel your enerygy into : ~를 위해 에너지를 한곳으로 모으다
영어표현 다루기 4
◆ WHAT – 건 강
*’다리가 저려요.‘ 는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저리다’ 라는 영어를 모르겠다구요 ? 그걸 몰라도 전혀 상관없어요. ‘다리가 저리다’ 는 표현을 ‘다리에 감각이 없다’ 즉, ‘다리가 지금 잠자러가서 여기 없다’ 라고 표현하면 되니까요. ‘My leg has gone to sleep.‘ 정말 재미있는 표현이죠 ? 잘 외워두셨다가 필요할 때 적절히 써보세요. * 그러면 이번에는 조금 더 어려운 표현을 배워보죠. ‘장딴지에 쥐가 났어요.‘ 정말 어렵네요. 이 말을 영어로 일대일로 옮기려 한다면 장딴지가 아니라 아마 머리에 쥐가 날걸요. 그래서 영어는 단어를 암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문장을 통째로 암기 해야할 때가 있는 법이에요. 이 표현은 ‘I have a cramp in my calf.‘ 라고 하는 거예요. 여기서 ‘cramp’ 는 ‘경련’ 또는 ‘쥐’ 를 의미하는 단어이고, ‘calf’ 는 ‘장딴지’ 를 의미하는 거죠. 물론 ‘calf’ 에는 ‘송아지’ 라는 의미도 있어요.
◆ WHAT – 음 식
*’입에 군침이 도네요.’ 를 영어로 옮겨보세요. 어려우세요 ? ‘My mouth is watering.‘ 어때요 ? 정말 쉽죠 ? 그래요. ‘입에 물이 흐른다’ 는 표현이 바로 ‘입에 군침이 돈다’ 는 의미가 되는 거예요. 그러면 ‘It makes my mouth water.’ 는 ‘그거 입에 군침이 돌게 하네요.’ 라는 해석이 자연스럽게 되죠 ? *’그 남자 돼지같이 먹어요.‘ 를 영작해보세요. ‘He eats like a pig.’ 그럴 듯 해 보이지만 틀렸어요. ‘He eats like a horse.‘ 라고 하는 거예요. 서양에서는 말이 돼지같이 먹는가 보죠 ? 그러면 이번에는 ‘그 여자는 괭이밥을 먹어요.’ 를 영작해보세요. ‘괭이밥’ 이 뭐냐구요 ? ‘고양이밥’ 의 준말이에요. 그러니까 ‘그 여자는 조금밖에 안 먹어요.’ 를 영작 하면 되는 거죠. ‘She eats like a cat.’ 이 아니니까 이런 문제를 냈겠죠 ? 그래요. ‘She eats like a bird.’ 라고 해요. 고양이보다는 새가 더 조금 먹을테니, 이 표현은 그럴 듯 하네요.
◆ WHAT – 교 통
* 요금이나 가격을 의미하는 여러 단어의 용례에 대해 살펴볼까요 ? fare (배, 기차, 버스, 택시 따위의) 요금 ex) taxi fare rate (우편, 화물, 전화, 수도 따위의) 요금 ex) postal rate charge (봉사, 노력 따위의) 요금 ex) service charge fee (의사, 변호사 등의) 보수 또는 입장료 ex) lawyer’s fee, admission fee price (특히 물품에 관해) 파는 가격 ex) selling price cost (제조, 입수, 유지를 위해 지불하는) 원가 ex) maintenance cost fine (위반, 체납, 연체 따위의) 벌금 ex) parking fine* 이런 표현의 의미 차이를 구별할 줄 아세요? Here we are ! (택시운전사가 목적지에 도착해서) 자, 도착했어요 ! Here you are ! Here it is ! (남에게 돈이나 물건을 건네주면서) 자, 여기 있어요 ! Here we go ! Here goes ! 자, 시작한다 ! 자, 간다 ! 시작 ! There you are ! (놀람, 비난 따위를 나타낸다) 그것 봐 ! 그만하면 됐어 ! There you go ! (상대방에 대한 칭찬으로) 잘 한다 !
◆ WHAT – 남 녀
* She turns me on ! ‘그녀는 저를 켜요.’ 나를 무슨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쯤으로 아나 ? 나를 켜고 끄고 하게 ! 이 정도 생각이 들면 영어에 가능성이 있는 거예요. 사람을 ‘turn on’ 한다는 것은 ‘꺼져있던 그 사람의 마음을 켜놓는다’ 즉, ‘-를 매혹시키다’ 라는 의미가 되는 거죠. 따라서 ‘저는 그 여자한테 반했어요.‘ 라고 해석하면 오케이 ! 반대로, ‘He turns me off.’ 라고 하면 ‘저는 그 남자한테 질렸어요.’ 가 되는 거죠. 어때요 ? 재미있는 표현이죠 ? * ‘저는 오늘밤 미팅이 있어요.‘ 를 영작해보세요. ‘I will have a meeting tonight.’ 라고 하면 ‘미팅’이 아니라 ‘회의’ 가 있다는 말이 되요. 즉, 우리가 말하는 ‘남녀사이의 만남’ 은 ‘meeting’ 이 아니라는 거죠. ‘I will have a blind date tonight.‘ 라고 해야 되죠. 서로가 상대방을 모르는 채로 만나는 만큼, ‘장님 데이트’ 라는 표현이 너무나 적절하지 않아요 ? * We’re history. ‘우리는 역사예요.’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겠군요. 그러세요 ? 그러면 이렇게 한번 생각해보세요. 역사란 과거의 사실을 기록한 것으로 더 이상 현재가 아니라고. 그러면 이제 이해가 되세요 ? 그래요. ‘우리 사이는 이제 끝났어요.‘ 비슷한 표현으로 ‘We broke up.’ 또는 ‘It’s all over between us.’ 가 있어요.
◆ WHAT – 감 정
* What a shame ! ‘정말 부끄러운 일이군 !’ 이라고 해석하시겠습니까 ? 그렇다면 땡 ! 틀렸어요. ‘shame’ 에 ‘부끄러움’ 외에도 ‘너무나 심한 일’ 이라는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안다면, ‘너무 심하네요’ 즉, ‘너무 안됐어요‘ 라고 해석할 수 있겠죠 ? ‘It’s a shame.’ 이 라고도 해요. ‘It’s a pity.’ 나 ‘That’s too bad.’ 또는 ‘I am sorry to hear that.’ 과 같은 의미죠. 참고로, ‘Shame on you !’ 라고 해야 ‘부끄러운 줄 아세요.’ 가 되는 거예요. 헷갈리지 마세요 ! * I’m on cloud nine. ‘저는 9 번 구름 위에 있어요.’ 도대체 ‘9 번 구름’ 이 뭐예요 ? 이것은 단테(Dante) 의 ‘The Divine Comedy’ 에서 ‘행복의 절정’ 을 의미한 데에서 유래한 표현 이죠. 따라서, ‘저는 행복의 절정에 있어요‘ 즉, ‘저는 구름 위에 뜬 기분이에요’ 라고 해석 하면 오케이 ! 간단히 ‘I am on a cloud.’ 라고도 해요. 유사한 표현으로 ‘He’s walking on air.’ 가 있는데, ‘그 남자는 의기양양해 있어요.’ 라는 의미죠. 우리말의 ‘방방 떠다닌다’ 라는 표현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는 것 같죠 ?
◆ WHAT – 시 간
* Do you have the time ? 멋진 이성이 당신께 이런 질문을 던졌을 때, 절대 흥분하지 마세요. 결코 ‘시간 있으세요 ?’ 가 아니니까요. 여기서 ‘the time’ 은 ‘시간’ 이 아니라 ‘시계’ 임을 명심하시길 ! 따라서, 그 사람은 ‘시계 있으세요 ?’ 즉, ‘지금 몇 시예요 ?‘ 라고 단순히 현재의 시간을 물은 것이죠. 어때요, 공연히 가슴만 설레었다구요 ? 하지만 언젠가 는 정말 멋진 사람이 당신께 ‘Do you have time ?’ 이라고 묻는 날이 올 거예요. ‘시간 있으세요 ?’ 라고.* I’ve had my days. 너무 쉽다구요 ? 뭐라고 해석하셨는데요 ? ‘저는 저의 날들을 가졌 어요.’ 그게 무슨 뜻이에요 ? 아무리 해석을 잘 했어도,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면 엉터리 해석을 한 거죠. 자, 여기서 ‘my days’ 가 의미하는 것은 ‘전성기’ 즉, ‘잘 나가는 때’를 의미하는 것이고, 동사를 ‘have had’ 즉, 현재완료시제로 쓴 것은 ‘과거에 가져본 적이 있다’ 는 ‘경험’ 을 나타내는 것이죠. 따라서, 이 문장은 ‘저도 잘 나가는 때가 있었어요.‘ 라는 의미가 되는 거예요. 오케이 ? 오케이 !
◆ HOW – 길 찾기
* Just follow your nose. ‘그냥 당신의 코를 따라가세요.’ 아니, 코를 따라 가라구요 ? 도대체 무슨 말씀을 하시는 거예요 ? 글쎄요. 얼굴에서 가장 앞으로 튀어나온 부분이 코라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가 되시겠죠 ? 그래요. ‘그냥 쭉 앞으로 가세요.‘ 라는 의미예요. ‘Go straight on.’ 이나 ‘Keep going straight.’ 와 같은 의미가 되는 거죠. * ‘코’ 이야기가 나온 김에,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있어요.‘ 를 한번 영작해보세요. ‘nose’ 를 고집해서는 제대로 된 표현을 만들기가 어려울 거예요. ‘It’s at a stone’s throw.’ 또는 ‘It’s a stone’s throw away.‘ 라고 표현하기 때문이죠. ‘돌을 던져 날아갈 수 있는 거리’ 가 바로 미국사람들이 생각하는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 가 되는 거죠. 영작이라는 것이 한영 사전만 가지고는 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런 표현의 차이 때문이에요.
◆ HOW – 전 화 통 화
* IN A NUTSHELL 간혹 전화기의 수화기에 이런 표어가 붙어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 의미가 뭔지 아세요 ? 직역을 하면 ‘(호두 따위의) 딱딱한 껍질 속에’ 가 되는데, 그런 딱딱한 껍질 속에 무엇을 집어넣는다고 한들 얼마나 많이 들어가겠어요 ? 그러니 우리말의 ‘용건만 간단히‘ 와 같은 의미가 되는 거죠. 재미있죠 ? 그러면 이 말을 한번 해석해보세요. ‘I will tell you the story in a nutshell.’ 그렇죠. ‘그 이야기를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 Let me page him. ‘그분을 페이지 해드리겠습니다.’ 도대체 사람을 어떻게 페이지 한다는 말이야 ?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은 요즘 삐삐라고 하는 호출기가 영어로 무엇인지 생각해 보세요. ‘beeper’ 또는 ‘pager’ 라고 하죠. 이제 아시겠어요. 그래요. ‘page’ 는 동사로 ‘-를 부르다’ 또는 ‘-를 호출하다’ 라는 의미로 쓰이는 거예요. 따라서 이 문장은 ‘그분을 불러드리겠습니다.’ 또는 ‘그분을 호출해드리겠습니다.’ 라고 해석하면 오케이 !
◆ HOW – 학 교 생 활
* 학년을 나타내는 단어로 ‘freshman, sophomore, junior, senior‘ 가 있는데, 그 학교가 몇 년 제인가에 따라서 각각 이 단어가 의미하는 학년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 무조건 freshman은 1학년, sophomore는 2학년, junior는 3학년, senior는 4학년이라고 생각하신다면, 외국인과의 대화에서 헛갈릴 수가 있어요. 학제에 따라 junior가 1학년, 2학년, 3학년이 될 수 있고, senior는 2학년, 3학년, 4학년이 될 수 있으니까요. 일반적 으로, junior는 하급자를 의미하고, senior는 상급자를 의미하죠. 잘 익혀두세요 2 년 제 : junior(1학년), senior(2학년)
3 년 제 : freshman(1학년), junior(2학년), senior(3학년)
4 년 제 : freshman(1학년), sophomore(2학년), junior(3학년), senior(4학년)
◆ HOW – 취 직 면 접
* I have a certificate of shorthand. 세상에 ! ‘짧은 손 증명서’가 뭐예요 ? 그러시는 분은 사전에서 ‘shorthand’ 를 찾아보세요. 바로 ‘속기’ 라고 나와있을 거예요. ‘shorthand writing’ 의 준말이며 조금 어려운 단어로 ‘stenography’ 가 있어요. 이만하면 해석은 다 된 거죠. ‘저는 속기 자격증이 있습니다.’ * What was your total GPA at college ? GPA 가 무엇의 acronym(두문자어) 이죠 ? 바로 ‘grade point average’ 의 acronym 이예요. ‘학점평균’ 이라는 의미죠. 따라서 이 문장은 ‘대학에서의 총 학점평균은 몇 점이었습니까 ?‘ 라고 해석하면 되는 거예요.